본문 바로가기

[지단열] 경제경영

(12)
한국 반도체장비 선방하고 있다. 한국은 반도체 장비 매출에서 2010년~2024년까지 일관되게 20% 내외의 시장점유율을 유지.이는 중국이 동 기간동안 6%에서 38%까지 증가한 것에 비하면 다소 실망스러운 결과로 볼 수 있지만 대만은 29%에서 14%로, 일본은 15%에서 7%로 반토막이 난 상황에서는 선방한 측면이 있다.미국도 동 기간 14% 수준을 유지.
미국 주별 첨단산업 집중도(Location Quotient) 미국 정보기술혁신재단(ITIF)의 2025 State Hamilton Index에 의하면,미국 첨단산업(IT 및 정보서비스, 전자제품, 제약 및 바이오, 기계장비, 자동차, 기타 운송장비, 전기장비)는 2022년 기준 820만명을 고용하며 IT 및 정보서비스가 4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IT 및 정보서비스는 버지니아 주가 글로벌 LQ(Location Quotient)의 2.44배,전자제품은 뉴햄프셔 주가 글로벌 LQ의 3.12배,제약 및 바이오는 메인 주가 글로벌 LQ의 4.30배,기계장비는 아이오와 주가 글로벌 LQ의 4.10배,자동차는 인디애나 주가 글로벌 LQ의 7.94배,기타 운송장비는 캔자스 주가 글로벌 LQ의 5.40배,전기장비는 위스콘신 주가 글로벌 LQ의 4.70배로 가장 높다.전체 첨..
테무의 가장 큰 시장은? 중국의 전자상거래 기업인 테무(Temu)는 미국이 800달러 미만 저가 소포에 대한 관세 면제(de minimis)를 폐지하면서 미국 구매자에 대한 직접 배송을 중단.중국에서 다른 국가로의 직접 배송은 테무의 핵심 비지니스 모델.현재 미국 고객에게는 미국 현지 창고에서 발송되는 상품만 판매.미국은 테무 전체 매출의 32.6%를 차지하고 있으며,테무의 총 상품거래액은 2023년 140억 달러에서 2024년 475억 달러로 239% 증가했다.
미국 관세 인상 영향 산업군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미국 관세는 현재 145%이며, 일부 제품은 최대 245% 까지 부과되고 있다.2023년 HS4 코드 기준으로 중국 수입품 비중은,전기충전기 300억 달러 수입 중 53%,통신장비 1,180억 달러 수입 중 47%,데이터 처리기기 1,040억 달러 수입 중 38%,좌석 260억 달러 수입 중 28%,기타 가구 270억 달러 수입 중 24%,전기변압기 270억 달러 수입 중 16%,자동차부품 870억 달러 수입 중 11%출처 : https://www.inc.com/jennifer-conrad/these-are-the-industries-most-at-risk-to-china-tariffs/
미국의 제조업 리쇼어링 가능할까? 2024년 7월 미국 CATA Institute 의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미국인들이 더 많이 제조업에 근무하면 미국이 더 부흥할 것이라는 응답이 80%,미국 제조업은 국제 무역에 의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다는 응답이 79% 로 나타났다.미국 정부가 제조업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응답이 52%로부정적인 응답 29%보다 높게 나타났다.하지만, 미국인들은 현재 직업보다 제조업을 선호한다는 응답은 25%에 불과.미국으로 제조업이 돌아올 수 있을까?
미국 반도체산업 성장의 제한 요소 1. (소재 수요 증가) 첨단 노드(10nm) 및 첨단 패키징(AP)은 복잡한 제조공정으로 인해 마스크 레이어 등 소재 소비 급증. 65nm 노드 40개 마스크 레이어 → 3nm 노드 110개 레이어.갈륨, 게르마늄, 텅스텐 등 핵심 원자재는 주로 아시아 국가에 집중. 중국은 갈륨의 98%, 게르마늄의 94%를 생산.우크라이나는 마리우풀, 오데사 지역 제철공장에서 추출되는 네온, 크립톤, 제논, 아르곤, 헬륨 등 비활성 기체 (Noble gases)의 50%를 생산.중국은 티타늄 35%, 희토류(Rare earths) 71%를 생산. 최근 미국은 우크라이나와 광물 협상을 벌이고 있는데 우크라이나는 크림반도, 동부 돈바스 지역에 티타늄, 리튬, 우라늄 등 반도체, 배터리, 원자력 산업의 주요 소재가 매..
트럼프의 아름다운 광경 a beautiful thing to behold '25.4월 S&P 500 지수 19% 하락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SNS 트루스 소셜에 "아름다운 광경(a beautiful thing to behold)"라고 언급.2000년 닷컴 버블~2001년 9/11 테러 -49% ▶ 2008년 금융위기 -57% ▶ 2020년 코로나19 -34% ▶ 2022년 인플레이션 위기 -25% ▶ 2025년 트럼프 관세 -19%2002년, 2008년에 S&P 500 지수가 1,000선 아래까지 내려갔었다는 게 새삼스럽다. 2008년 이후는 안정적으로 우상향 중이다.약 20년 만에 6,000선 돌파. 20년 간 5,000 포인트가 상승했으니, 연간 250 포인트씩 증가한 셈이다. 트럼프를 이기는 시장의 힘이다. 이것이 진정한 아름다운 광경 a beautiful thing ..
미국 트럼프 정부 관세 상승에 따른 재정 확장 정책 필요성. 하비에르 비안치와 루푸 쿨리발리의 주장에 따르면,관세로 인해 수입품 가격이 상승하면 이는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고,특히 가계와 기업이 관세로 발생한 수입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수입품의 사적 비용이 사회적 비용보다 높아져소비가 최적 수준보다 줄어들게 된다. 이 상황에서 그들은 확장적 통화 정책을 통해 총소득을 늘리고,그로 인해 수입품에 대한 수요를 다시 촉진시켜 소비 감소를 상쇄하고 경제 전체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본다.즉, 관세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하고 경제를 안정시키기 위해 확장적 통화 정책이 필요하다는 논리이다. 출처 : The Optimal Monetary Policy Response to Tariffs(Javier Bianch & Louphou Coulibaly, '25.3)https://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