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상품교역에 의한 세계경제 성장이 정체되는 모습. 반면 서비스 교역은 그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였는데 비교역재로 여겨졌던 서비스가 기술 발전을 통해 교역 가능성이 확대된 것에 기인.
한국은 상품수지 흑자, 서비스수지 적자 구조가 고착화되었으나 최근 통상환경의 불확실성 증대, 중국의 경쟁력 향상 및 자급률 제고 등으로 상품 수출이 크게 증가하지 못할 전망.
한국의 서비스 수출은 2010~2023년 연평균 3.8% 증가하였는데 인도, 중국은 물론 미국, 일본보다도 낮은 수준이며, 세계시장 점유율도 2010년 1.9%에서 2023년 1.6%로 하락.
지식서비스 수출은 2010~2024년 연평균 13.4% 증가하여 전체 서비스 수출 증가율 3.8%를 크게 상회하였고 전체 서비스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0년 7.6%에서 2024년 26.5%로 크게 상승. 지식서비스 수출 비중 증가폭은 2010년 대비 2023년 29.5%p 증가하였는데 이는 중국 27.4%p, 인도 21.2%p 보다도 높은 수준.
지식서비스 수출 중 지식재산권 사용료 수출은 2024년 기준 199억 달러로 54.0%, 전문사업 서비스 수출은 99억 달러로 27.0%를 차지하였는데 2010~2024년 증가율은 정보통신 서비스 수출이 연평균 18.1% 증가하면서 가장 빠르게 성장. 지식서비스 수출 규모는 주요국에 비해 여전히 작지만 증가 속도는 4.3배로 중국의 4.6배에 비해 두번째로 높음.
한국은 제조업과 연계된 서비스 생산이 2010년 이후 빠르게 상승하였고 2020년에는 독일, 일본 등 제조 선진국을 상회. 이는 전기전자제품 제조업, 자동차 제조업의 비중이 각각 72.9%, 16.4% 로 IT 제품과 연계된 클라우드 서비스 및 AI 서비스, 차량용 소프트웨어 및 자율주행 서비스 등과 연관. 그러나 제조업의 자국 서비스 생산 비중은 여전히 낮고 제조업과 연계된 서비스 상당 부분이 외국에서 발생. 이는 대기업의 현지 생산에 의한 서비스 수출만 증가하고 있고 국내 중소기업의 서비스 수출은 정체되거나 감소하고 있을 가능성을 내포.
'중소기업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역 박람회에서 신제품 전시를 위한 팁. (0) | 2025.04.06 |
---|---|
기업가적 정부... 정부 R&D 지원과 기술 복잡도 증가 (0) | 2025.03.28 |
기업 육성 지원인가? 기업 복지 지원인가? (2) | 2025.03.10 |
새우를 러닝머신 위에서 뛰게하는 연구 (2) | 2025.03.09 |
정책 평가의 활용도 제고 방안 (2) | 2025.03.08 |